1. 컨설팅 문서 준비: 프로젝트의 내용과 요구 사항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공급업체에 컨설팅 절차, 평가 방법 및 관련 서면 문서를 알립니다.
2. 판매 상담 서류: 판매일로부터 5 일 (영업일 기준) 이상.
3. 컨설팅팀 설립: 구매인 대표, 심사전문가, 3 명 이상 단수로 구성돼 심사전문가는 총 회원수의 3 분의 2 를 넘지 않아야 한다.
4. 공급자 제출 컨설팅 파일: 컨설팅 파일에서 공급자 제출 문서까지 마감일은 10 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5. 예비 검토: 컨설팅 팀은 자격 증명서 및 보증금을 포함한 입찰 문서의 자격 및 적합성을 검토합니다.
6. 해당 문서의 해명: 예비 검토 과정에서 컨설팅 팀은 공급자에게 문서의 내용 (예: 의미 불명확, 유사 문제 표현 불일치, 문자 및 계산 오류 등) 에 필요한 해명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7. 협상회의 개최: 협상팀과 공급상이 각각 협상을 진행한다. 컨설팅 문서가 구매 대상에 대한 기술 및 서비스 요구 사항을 상세히 규정할 수 있는 경우 공급자는 컨설팅 후 정해진 시간 내에 최종 견적을 제출합니다.
컨설팅 문서는 구매 대상의 기술, 서비스 요구 사항 및 계약 조건을 상세히 규정할 수 없습니다. 실질적인 변경은 컨설팅 문서의 효과적인 부분이므로 공급업체는 컨설팅 문서의 변경 사항 및 컨설팅 팀의 요청에 따라 응답 파일을 다시 제출해야 합니다.
8. 종합평가: 컨설팅팀은 컨설팅문서에 규정된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했고, 결국 각 공급상 점수를 요약했고, 최종 견적에서 가장 높은 견적과 가장 낮은 견적은 제거할 수 없었다.
경쟁 협상의 특징을 소개하다.
1. 유연성: 경쟁 협상은 다른 입찰 조달 방법보다 유연성이 뛰어나 협상 중 필요에 따라 기술 및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2.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이 방법은 구매자와 공급자 간의 효과적인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여 최상의 솔루션을 찾습니다.
3. 단계별 최적화: 다양한 시나리오의 비교 분석을 통해 구매측은 끊임없이 자신의 수요를 최적화할 수 있고, 공급업체도 시장 경쟁 상황을 이해하고 방안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