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위원회의 임무는 주로 반 심리건강지식의 선전과 보급을 담당하고, 반 학생들의 심리문제에 대한 기록과 보고, 그리고 자신의 개입 능력 범위 내의 과외를 잘 하는 것이다. 게다가, 반 학생들의 심리적 변화를 예리하게 관찰하고 제때에 기록해야 한다. 구체적인 표현은 다음과 같다.
1. 정신건강지식을 열심히 공부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본 반의 심리건강교육 홍보활동을 적극 전개하다.
2. 학교의 각종 활동을 돕고 심리건강교육과정, 좌석,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다른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3. 학생들 중 각종 심리이상을 발견하여, 힘이 닿을 수 있는 도움을 주고, 담임 선생님과 학교 심리건강과외교사에게 제때에 보고하여 가능한 한 빨리 해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심리장애가 있는 학생들이 제때에 심리상담실에 가서 심리상담을 받도록 도와주고, 심리상담교사에게 학생의 성과를 제공하고, 상담받는 학생에 대한 추적과 피드백을 강화할 책임이 있다.
5. 학교에서 심리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6. 학생 심리건강교육 조교로서 교사와 학생에게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심리위원의 기본 자질 요구.
1. 심리위원에게 집단과 학우에 관심을 갖고, 심리건강교육업무를 이해하고 사랑하며, 다른 사람을 열심히 봉사하고, 헌신정신을 갖도록 요구한다.
심리위원에게 좋은 심리적 자질을 갖추도록 요구하다. 심리위원은 차분함, 정서 안정, 협력, 비밀 유지, 성실, 이해심, 인간관계 양호, 언어 소통 능력, 관찰력이 예민해야 한다.
3. 심리위원에게 강한 책임감과 좋은 도덕적 자질을 요구하다.
4. 심리위원은 기본적인 심리전문지식과 기술훈련을 받아야 하며 기본적인 심리건강지식을 갖추고 있다.
5. 심리위원은 양호한 학습성적과 개인특기를 요구한다. 예: 글쓰기, 미술 편집자, 컴퓨터 조작, 행사 조직, 극본 쓰기, 영화 평론 등.